바이오뉴스 24138

삼성서울병원 "흉터 줄이고 상처 회복에 도움주는 전기밴드 개발"

삼성서울병원 "흉터 줄이고 상처 회복에 도움주는 전기밴드 개발"  최병옥-이종희-김상우흉터를 최소화하면서도 상처를 빠르게 회복하는 데 도움되는 전기밴드가 개발됐다.삼성서울병원은 최병옥 신경과 교수와 이종희 피부과 교수, 김상우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전자기파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활용한 '자가구동' 상처치료 전자약(전기밴드)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상처에 전기자극을 주면 주변 섬유아세포가 이동해 혈류증가, 염증 감소, 콜라겐 분비를 유도해 세포가 재생된다.이번에 개발된 전기밴드는 TV, 노트북, 핸드폰 등 일반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50·60 헤르츠(Hz) 전자기파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했다. 배터리 충전이나 외부 전원 공급 없이 구동할 수 있다는 의미다.김 교수는 ..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국제공동연구 연수 후기] 미국 비자 준비하기: J1 비자 취득을 위한 준비-6

[국제공동연구 연수 후기] 미국 비자 준비하기: J1 비자 취득을 위한 준비-6   1. DS-2019 서류받기 2. DS-160 작성하기 3. SEVIS FEE (비자 수수료) 납부 4. 비자 인터뷰 예약 5. 미국 대사관 방문해 인터뷰 진행 6. 수일 내 비자 수령 지난번 원고에서는 미국 연수 프로그램을 가기 위한 6가지의 미국 J1 비자 취득을 위한 준비 과정 중에서 네 번째 단계인 비자 인터뷰 예약을 위한 과정을 마무리 지었다. 드디어 마지막 단계인 미국 대사관 방문해 인터뷰 진행까지 왔다. 미국 비자 발급 절차 중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바로 대사관에서의 인터뷰이다. 해당 인터뷰는 신청자의 학업 계획, 미국 체류 계획, 재정 상황 등을 확인하는 중요한 절차로, 비자 발급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성실한 삶, 유전성 치매 발병 시기도 늦춘다

성실한 삶, 유전성 치매 발병 시기도 늦춘다단국대병원 손혜주·서울아산병원 김재승 교수 연구팀 세계 최초 입증 국내 연구기관 최초 ‘우성 유전 알츠하이머병 네트워크 (DIAN)’ 연구결과 미국신경과학회 공식 학술지 게재 성실한 삶의 태도가 유전성 치매 발병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단국대병원(병원장 김재일)은 손혜주 교수팀(핵의학과)이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김재승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우성 유전 알츠하이머병 네트워크(DIAN, Dominantly Inherited Alzheimer Network)’ 코호트 국제 연구에서,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높이는 비유전적 생활 습관 요인이 유전성 치매의 발병 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국가바이오위원회 만든다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국가바이오위원회 만든다국무위서 대통령령 의결… 위원회 구성 본격 착수민관 역량 하나로 모아 글로벌 바이오 경제 대응  [파이낸셜뉴스] 각 부처별로 진행해 왔던 바이오 정책을 통합해 결정하는 범부처 초고위 거버넌스인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신설된다. 이를통해 우리나라가 연구·산업·인력·규제·거버넌스 등에서 국가 바이오 생태계의 대전환을 위한 혁신에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 글로벌 바이오 경제 시대에서 선도적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령인 '국가바이오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이 의결됨에 따라 '국가바이오위원회' 구성을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통령령은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아 민·관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범 국가적 위원회를 설치·운..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그래도 실험실이 좋습니다] 내가 먼저 건강해야 얘네도 건강하지 않을까

[그래도 실험실이 좋습니다] 내가 먼저 건강해야 얘네도 건강하지 않을까  대학원생이 되면 이상하게도 다들 병을 한 두 개씩 가지게 되는 것 같았다. 처음에 나는 아프지 않을 거라는 자신감이 있었다. 대학원에 진학하기 전까지 비염을 제외하면 건강에 큰 염려가 없었었다. 하지만, 하루하루가 지날수록 체력이 떨어지는 건 불가항력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회사는 업무시간이 끝나면 업무와 관련된 일을 잠시 머릿속에서 떠나보낼 수 있었지만, 대학원은 아니었다.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었음에도 퇴근 시간 이후 마음 놓고 퇴근할 수도 없었고, 저녁 늦게까지 있으면서 하루 두 끼 이상은 바깥음식을 섭취하게 되었으며 당이 떨어지면 간식을 찾아 헤맸다. 게다가 하필 내가 대학원생일 때는 코로나로 인해 많은 것이 제약되던 시절..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난치암 연구 도전, 재발과 전이암에서 대규모 ecDNA 발견

난치암 연구 도전, 재발과 전이암에서 대규모 ecDNA 발견  암의 재발 및 전이 과정에서 ‘ecD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약학과 김훈 교수 연구팀과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의 Roel Verhaak 교수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이 연구는 전이암에서 ecDNA(염색체외 원형 DNA)*가 암의 확산을 돕는 핵심 요소임을 대규모로 규명한 것이다.  * ecDNA: Extrachromosomal DNA, 암세포의 확산을 촉진하는 염색체 외부의 원형 DNA  ecDNA는 다양한 종양 유전자를 포함한 원형 DNA로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르지 않으며 종양의 이질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유전자 발현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2018년과 2020년 교모세포종을 포함..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피부 아래 췌장 조직 심어 당뇨병 치료한다 !

피부 아래 췌장 조직 심어 당뇨병 치료한다 !  피부 아래에 췌장 조직을 이식해 혈당을 조절하는 새로운 당뇨 치료법이 나왔다.  UNIST(총장 박종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강현욱 교수팀은 피하 조직에 이식해도 혈당 조절 기능을 할 수 있는 췌도 이식체를 개발했다. 췌도는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덩어리로, 심각한 인슐린 분비 장애를 겪는 제1형 당뇨환자의 간이나 신장에 이를 이식해 치료한다. 개발된 이식체는 간단한 절개로 시술할 수 있고, 부작용 발생시 간이나 신장과 달리 바로 회수 가능해 수술 부담과 합병증 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췌도를 간이나 신장에 이식해 온 이유는 풍부한 혈관 때문이다. 이를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혈당을 감지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형광공명에너지전이 기반 CAR 바이오센서를 통한 CAR-T 라이브 세포 스크리닝 시스템 개발

형광공명에너지전이 기반 CAR 바이오센서를 통한 CAR-T 라이브 세포 스크리닝 시스템 개발  연구 필요성  CAR(chimeric antigen receptor)-T 세포치료제는 환자의 면역세포인 T 세포에 암세포를 인지하여 T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를 발현시킨 후 다시 환자 몸에 주입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살상하는 최신 면역항암치료법이다. 성공적인 CAR-T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핵심 작동 원리인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의 디자인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암 항원에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CAR를 살아있는 세포 상태에서 정교하게 스크리닝하는 혁신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연구성과/기대효과  본 연구에서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효과적인..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AI 알고리즘, 무려 16만 개의 새로운 RNA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우리는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다 바야흐로 인공지능(AI: Artifical Intelligence)의 시대이다. 최근 모든 학문에 ‘AI’라는 단어가 붙고 있는 것과 더불어 올해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은 AI와 융합된 분야에 시상되기도 했다. 그만큼 AI는 우리 생활에 상당히 밀접해 있는 듯 보인다. 여기에, 최근 우리와 매우 가까워진 또 하나의 단어가 있다. 바로 코로나 이후 등장해 우리 생활을 지배하기 시작한 ‘RNA 바이러스’이다. 참고로, RNA 바이러스는 단일 리보핵산(RNA) 가닥으로 구성된 유전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같은 DNA 바이러스의 이중 가닥 DNA와는 다르다. 신호우(Xin Hou) 박사가 이끄는 중국 및 호주 국제 연구진이 국제 학술지 셀(Cell)에 ..

카테고리 없음 2024.10.29

제약바이오기업, ESG A등급 이상 17개사

제약바이오기업, ESG A등급 이상 17개사한국ESG기준원, 상장사 대상 2024년 ESG 등급 발표 [의학신문·일간보사=김정일 기자] 올해 ESG 평가 A등급 이상을 획득한 제약바이오 분야 기업은 지주사를 포함해 17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ESG기준원은 2023년 말 기준 국내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해 2024년 ESG 등급을 공표했다. 올해는 상장회사 1001개사를 대상으로 ESG 평가를 진행해 ESG 등급(S, A+, A, B+, B, C, D)을 책정했다.  ESG 통합 A+등급에는 SK케미칼, 동아쏘시오홀딩스, HK이노엔 등 3개사가 포함됐다. SK케미칼은 환경·사회·지배구조 모두 A+ 등급을 받았고, 동아쏘시오홀딩스는 환경 등급 A, 사회 등급 A+, 지배구조 등..

카테고리 없음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