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뉴스 24138

美일라이 릴리 “임상시험에 맞는 환자가 신약의 미래… 디지털 기술로 찾아내”

美일라이 릴리 “임상시험에 맞는 환자가 신약의 미래… 디지털 기술로 찾아내”앤드류 헉슬리 아태 임상시험 담당 전무“신약 임상시험서 적격자 비율은 5% 그쳐AI 로 데이터베이스 분석, 최적 환자 찾아 ”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의 앤드류 헉슬리(Andrew Huxley) 전무는 “신약 개발에 성공하기 위해 임상시험에 적합한 사람을 더 많이 참여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30일 밝혔다. 일라이 릴리는 당뇨·비만 치료제 젭바운드, 알츠하이머 치료제 키썬라 등을 보유한 글로벌 제약사로, 미국 증시에서 29일 기준 시가총액 11위 기업이다. 헉슬리 전무는 이날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열린 ‘2024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KoNECT) 국제 콘퍼런스’에 기조강연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헉슬리 전무는 일라이 릴..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인공지능이 이끌 헬스케어 분야 7가지

인공지능이 이끌 헬스케어 분야 7가지 한국바이오협회 ‘생성형 AI,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 발간“생성형 AI 시장규모 지난해 2조 원 ··· 2032년 30조 원 이를 것”“내재된 위험 고려해야 ··· 생성형 AI가 최종 의사 결정해서는 안 돼”  [헬스코리아뉴스 / 이창용] 인공지능이 여러 산업 분야에서 급격한 변화를 이끌고 있는 가운데 헬스케어 분야 역시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도움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최근 발행한 ‘생성형 AI,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라는 보고서는 AI 적용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고 분석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헬스케어 분야의 생성형 AI 시장규모는 2023년 18억 달러(약 2조 4782억 원)로 평가됐으나, 2032년 말까지 연평균 3..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회전근개 복합 조직 재생 모델 개발...다양한 인체 복합 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구조체 바이오프린팅 플랫폼 기술

회전근개 복합 조직 재생 모델 개발...다양한 인체 복합 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구조체 바이오프린팅 플랫폼 기술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의학과 김근형 교수 연구팀(정밀의학교실: 김원진, 채수정, 황보한준, 조서율)은 회전근개(rotator cuff) 복합 조직을 재생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힘줄, 골조직, 그리고 두 조직을 이어주는 섬유연골을 포함한 복합 조직의 미세환경을 모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회전근개의 힘줄-골 복합 조직은 힘줄에서 골조직으로 갈수록 기계적 특성과 무기질 함량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로 인해 수술로 복합 조직을 재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특히 섬유연골의 재생이 큰 과제로 남아 있었다.회전근개를 제작하는 기..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다중 고감도 금속 기반 암 진단 기술 개발

다중 고감도 금속 기반 암 진단 기술 개발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 전봉현 교수(시스템생명공학과) 연구팀이 하버드 의과대학의 Luke P. Lee 교수와 함께 개발한 '금속 나노입자를 통한 다중 암 신속 진단 시스템'에 관한 논문이 국제 저명 학술지인 ‘Nano Convergence’(IF=13.4)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기존의 암 진단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기 진단의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했다. 현재 사용되는 암 진단 시스템인 PET, MRI, CT 등은 고가의 장비와 전문 인력이 필요해 조기 진단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국제 의과학 사회는 현장검사(Point of Care Testing, POCT) 장치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Lateral Flow..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NYT “레켐비·키선라, 유전적 취약성에도 임상 참여...결과 안 알려”

NYT “레켐비·키선라, 유전적 취약성에도 임상 참여...결과 안 알려” “임상 참가자 274명, 유전적 취약성 모른 채 임상 시험 참여” 문서 입수ApoE4 유전자 보유 시 부작용 큰데 검사 결과 안 알려...‘비밀유지조항’ 윤리 논란  ‘알츠하이머 임상 시험에 대한 제약사들의 비밀(Drugmakers Had a Secret in Alzheimer’s Trials)‘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24일(현지 시간) 이와 같은 헤드라인을 단 탐사보도를 1면에 대서특필했다.(링크) 이 기사를 작성한 월트 보그다니치(Walt Bogdanich·74세)는 과거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에 재직하던 1988년을 포함해 2005년, 2008년까지 모두 세 번의 퓰리처상을 수상한..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10년간 쌓인 학생 인건비 6000억원... 정부 “일부 환수해 석·박사 주자”

10년간 쌓인 학생 인건비 6000억원... 정부 “일부 환수해 석·박사 주자”“스타이펜드에 주는 것 아니냐”이공계 교수들 대거 반발하자과기정통부, 30일 공청회 열고“연구장학금 재원은 별도마련”  정부가 준비중인 ‘이공계 석·박사 처우 개선 정책’에 이공계 대학 교수들이 대거 반발하고 나섰다. 각 대학 연구자들이 그동안 적립해놓은 학생 인건비 적립금(약 6000억원)을 윤석열 대통령이 발표한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스타이펜드)’ 제도의 재원으로 쓴다는 오해가 불거지면서다. 교수들은 적립금이 학생 인건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스타이펜드 재원으로 쓰일 경우 안정적 인건비 지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학생인건비 잔액..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K-바이오, 내달 4일 ‘바이오 유럽’ 총출동!... 신약 개발·CDMO 해외 공략 잰걸음

K-바이오, 내달 4일 ‘바이오 유럽’ 총출동!... 신약 개발·CDMO 해외 공략 잰걸음 11월 4일부터 6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전 세계 제약 바이오 관계자와 파트너십 기회 모색에이비엘바이오, 브릿지바이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에이비온 등 신약 개발 성과 발표 '주목'삼성바이오로직스·롯데바이오로직스 등 CDMO, CMO 글로벌 경쟁력 입증  [바이오타임즈]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유럽 지역 최대 규모의 파트너링 행사인 ‘2024 바이오 유럽’에서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나선다. 2024 바이오 유럽은 오는 11월 4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6월 미국에서 열리는 바이오 USA가 신약 개발 등 최신 연구 개발 성과를 발표하는 상반기 최대 행사라면, 바이오 유럽은 ..

카테고리 없음 2024.10.31

[Funky Science] 이것은 T세포인가 NK세포인가, CIK 세포치료제

[Funky Science] 이것은 T세포인가 NK세포인가, CIK 세포치료제   오늘 준비한 콘텐츠는 오래 시간 개발되어 왔지만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꼭 알아야 하는 세포치료제 종류 중 하나인 CIK세포치료제에 대한 기초 개념입니다!! 해당 영상을 시청 후 - CIK세포의 구성 - CD8T세포의 활성화 및 암세포 인식 원리 - NK세포의  암세포 인식 원리   궁극적으로 CD3+C56+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기사 오류 신고하기] BRIC Bio통신원(살덩이(필명)) 등록 2024.10.30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허혈성 손상 줄이는 혈소판 유래 생체재료 개발, 난소 이식 성공률 높인다

허혈성 손상 줄이는 혈소판 유래 생체재료 개발, 난소 이식 성공률 높인다  분당서울대병원(원장 송정한) 산부인과 이정렬 교수,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이강원 교수, 분당차병원 김지향 교수 공동 연구팀(제1저자:정나눔 박사과정)이 자가 혈소판 유래 인자를 캡슐화한 피브린 하이드로겔(PFH, Platelet-drived Factors-Encapsulated Fibrin Hydrogel)을 개발하고, 비임상 시험을 통해 PFH가 난소 이식 후 허혈 손상 완화와 난소 기능 보존에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난소 조직의 일부나 전체를 떼어내 동결했다가 해동하여 이식하는 것은 소아에서 가임기 여성까지 모두 적용이 가능해 매우 이상적인 가임력 보존 방법으로 여겨진다. 이는 난자나 배아 동결을 ..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연구자-연구행정가 파트너십, '한계 넘는 R&D' 가능성 높여"

"연구자-연구행정가 파트너십,'한계 넘는 R&D' 가능성 높여"[연구행정은 R&D 핵심파트너]⑥SRAI 현장전 세계 3000여명 연구행정가들 축제 펼쳐'함께 한계를 뛰어넘어 미래로' 주제‧‧‧AI적용 등 다양한 혁신의제 다뤄2026년 두바이 세계 연구행정 총회에 한국 참가 논의  지난 28일 오전 9시(현지 시간)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 시 중심부 메리어트 호텔. 전 세계 40개국 3000여 명 연구행정가들의 발길이 몰렸다. 57년 전통의 국제연구행정협회(SRAI) 2024 연례총회가 3일간의 일정으로 '바람의 도시' 시카고에서 개최됐다. 시카고는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이며 연구개발(R&D)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공학과 과학분야에서 명성을 가진 일리노이 공과대학..

카테고리 없음 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