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뉴스 24138

GSK, 모더나에 mRNA 백신 특허 침해 소송 제기

GSK, 모더나에 mRNA 백신 특허 침해 소송 제기 미래 백신 'mRNA' 기술을 둘러싼 제약 업계의 지적재산권 분쟁 예고모더나 소송 방어 태세 돌입…"물러서지 않을 것"  GSK가 모더나를 상대로 미국 델라웨어 연방 법원에 2건의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소송은 모더나가 승인받은 두 종류의 mRNA 백신인 △코로나19 백신 ‘스파이크백스(Spikevax)’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백신 ‘mRESVIA’ 등에 대한 소송으로 GSK는 모더나가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GSK는 모더나가 자사 지적 재산권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며 이로 인한 손해에 대한 배상과 합리적인 로열티를 요구했다. GSK 법률팀은 모더나가 GSK가 2015년 노바티스의 백신 사업 일부를 인수하면서 획득한 RNA 접근 방식..

카테고리 없음 2024.10.17

국내서도 ‘위고비 신드롬’ 예고…강력한 효과만큼 부작용도 만만찮아

국내서도 ‘위고비 신드롬’ 예고…강력한 효과만큼 부작용도 만만찮아비만약 위고비 국내 상륙애 폭발적 관심평균 15%에 달하는 강력한 체중 감량 효과로 인기처방 대상은 고도 비만 및 고혈압·당뇨 동반 환자… 구토·설사 등 다양한 부작용 보고돼“환자들, 정신 건강 문제 동반…지속 관찰 필요해”   [바이오타임즈] 화제의 비만약 ‘위고비’가 지난 15일 국내 출시됐다. 지난해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지 18개월 만이다. 비만 치료를 열망하던 환자들에게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가운데, 부작용 및 오남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비만 치료제 글로벌 톱티어 ‘위고비’ 국내 출시에 ‘들썩’ 위고비는 2021년 제품 출시 직후 유명 인사들이 사용해 짧은 시간 내 14kg 감량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 세계..

카테고리 없음 2024.10.17

식약처, 11만4000여 실험동물 유래자원 최신정보 안내

식약처, 11만4000여 실험동물 유래자원 최신정보 안내"누구나 무료로 분양신청 가능"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이 실험동물 유래자원 최신 정보를 안내한다.평가원은 식·의약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실험동물자원은행에서 보유한 실험동물 유래자원의 최신 정보를 반영해 ‘실험동물 유래자원 종합안내서’를 개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실험동물 유래자원이란 실험에 사용된 동물 또는 실험동물로부터 얻어진 장기, 조직, 세포, 혈청, 체액, 유전물질 등을 말한다.종합안내서 주요 내용은 ▲실험동물 유래자원 현황 ▲자원 분양 절차 안내 ▲자원 활용 성과 소개 등이다.이번에 개정한 종합안내서에서는 독성물질 국가관리사업(KNTP)에서 수집한 생약·화학물질 투여 독성병리..

카테고리 없음 2024.10.17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은 넥스트 출연연 첫걸음"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은 넥스트 출연연 첫걸음"과기정통부, 4825억 투입하는 5개 전략연구단 출범출연연 중심 산학연 협력해 5개 분야 대형 성과 창출  [파이낸셜뉴스]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결집해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하는 연구단이 출범했다.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 중 이차전지와 유전자, 소형모듈원전(SMR), 반도체, 수소 등 5개 분야에서 국가 연구기관 다운 대형 성과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총 965억원을 시작으로 6년간 총 4825억원을 투입한다.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6일 대전 중앙과학관에서 올해 선정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의 착수를 기념하고, 연구단별 임무·계획의 대국민 발표를 위한 출범식을 개최했다.유상임 장관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

카테고리 없음 2024.10.17

전기경련요법·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 뇌 구조 변화 연관성 규명

전기경련요법·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 뇌 구조 변화 연관성 규명서울대병원, 환자의 뇌 미세구조 변화와 증상 완화 간 상관관계 확인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전기경련요법(Electroconvulsive Therapy, ECT)이 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의 뇌 미세구조에 변화를 일으키고, 이 변화가 증상 개선과 연관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전기경련요법의 치료적 기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향후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조현병은 환청, 망상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정신질환으로, 약 30% 정도의 환자들은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치료 저항성 조현병에 해당한다. 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들에게는 뇌에 전기 자극을 주어 경련을 유도하는 전기경련요법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전기경련요..

카테고리 없음 2024.10.17

B형간염 치료기준 바꾸면 간암 발생 4만 명 예방

B형간염 치료기준 바꾸면 간암 발생 4만 명 예방 만성 B형간염은 간암 원인의 70%를 차지하므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 다행히 간암 발생을 절반가량 줄여주는 안전한 항바이러스제가 나와 있지만, 현재로서는 간수치가 크게 상승했거나 간경화로 진행된 경우에 한해서만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아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간수치가 정상이고 간경화가 없는 환자 중에서도 혈액 내 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위험 구간에 있으면 간암 발생 위험이 최대 8배까지 높다는 사실을 자체 개발한 간암 예측 모델을 통해 다국적으로 입증해냈다. 이에 따라 간암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려면 간염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으로 B형간염 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국내에서 향후 15년간..

카테고리 없음 2024.10.16

[국제공동연구 연수 후기] 미국 비자 준비하기: J1 비자 취득을 위한 준비 -5

[국제공동연구 연수 후기] 미국 비자 준비하기: J1 비자 취득을 위한 준비 -5   1. DS-2019 서류받기 2. DS-160 작성하기 3. SEVIS FEE(비자 수수료) 납부 4. 비자 인터뷰 예약 5. 미국 대사관 방문해 인터뷰 진행 6. 수일 내 비자 수령 지난번 원고에서는 미국 연수 프로그램을 가기 위한 6가지의 미국 J1 비자 취득을 위한 준비 과정 중에서 세 번째 단계인 SEVIS FEE (비자 수수료) 납부를 위한 과정을 마무리 지었다. 드디어 그다음 단계인 비자 인터뷰 예약 단계까지 왔다. 꽤 오랜 준비가 필요하기도 하고 복잡하기도 하다. 과제만 따오면 아무 걱정 없을 줄 알았는데 떠나기 전부터 할 일이 꽤 많이 있었다. 어쨌든, 이번 원고에서는 비자 인터뷰 예약을 자세하게 알아보도..

카테고리 없음 2024.10.16

난치성 유방암의 전이 증가 기전 규명

난치성 유방암의 전이 증가 기전 규명  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응용생명과학부(생명과학부) 유지윤 교수 연구팀(제1저자 유기준, 이기원 박사)은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의 전이가 증가되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암 생물학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인 《분자 암(Molecular Cancer)》(영향력 지수 27.7)에 10월 11일 게재됐다(논문명: Chaperone-mediated autophagy modulates Snail protein stability: implications for breast cancer metastasis). 암의 진행 과정은 크게 개시, 촉진, 전이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단계의 암은 외과적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및 항암 화학요법 ..

카테고리 없음 2024.10.16

2050년까지 70세 이전 사망률 50% 줄이려면?

2050년까지 70세 이전 사망률 50% 줄이려면?  향후 10년 내 인류를 위협할 또 다른 팬데믹이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조기 사망자가 크게 늘지 않으려면 사망 위험률을 낮출 수 있는 대응책이 필요하다. 15가지 질환 및 부상에 집중하면 조기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전문가 집단의 보고서가 제시됐다.   국제 전문가 50명으로 구성된 랜싯보건투자위원회 연구팀은 70세 이전 연령층의 사망률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한 조치들을 담은 보고서를 15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세계보건정상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발표한다.   1970년 이후 37개국에서 70세 이전 사망인 ‘조기 사망’ 확률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많은 국가들이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있어 큰 진전을 이뤘다는 의미다.  이번 보고서는 ..

카테고리 없음 2024.10.16

반도체 공정 기술로 고감도 치매 바이오센서 개발

반도체 공정 기술로 고감도 치매 바이오센서 개발광운대 심준섭 교수, 미세 금속 패턴 제작…바이오센서에 적용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개념의 치매 검진용 바이오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광운대학교는 최근 전자융합공학과 심준섭 교수팀이 고가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없이 미세한 금속 패턴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바이오센서 개발에 적용해 혈액 속 치매 마커의 농도를 높은 민감도로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개발된 기술을 통해 미세한 금속 패턴을 이용해 제작되는 고감도 바이오센서를 한번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일회용 제품 형태로 제작했다. 미세한 금속 패턴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라는 여러 단계의 반도체 공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카테고리 없음 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