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138

식약처 신약 허가 기간 단축 키워드…'투명성·GMP·인력 강화'

식약처 신약 허가 기간 단축 키워드…'투명성·GMP·인력 강화' 업계 의견서 제출 완료…"의견 검토 후 추가 설명 자리 마련할 것"전담팀 통한 투명성 및 예측 가능성 증가·GMP 실사 기간 단축 통한 허가 기간 단축·전문인력 확충 등 중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신약 허가 과정 개편을 위해 제약업계부터 의견 제출이 완료됐으며, 이번 개편은 신약 허가 심사 절차에 있어 투명성 및 예측 가능성 증가와 GMP 실사 기간 단축이 주된 목표라고 전했다. 식약처 김춘래 의약품정책과장, 김영주 허가총괄과장, 박상애 의약품규격과장은 12일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함께한 자리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앞서 식약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신속한 신약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수익자부담 원직을 적용한 내용의 ‘의약품 등 허가 등에..

카테고리 없음 2024.11.13

"해외에서 기술력 과시"…'메디카' 참가하는 K의료기기

"해외에서 기술력 과시"…'메디카' 참가하는 K의료기기70여 개국·6000여개 기업이 참가는 세계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진매트릭스·메디아나·바이오넷 등 국내기업 기술·솔루션 선보여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세계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가 열리는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이 실력과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13일 의료기기 업계에 따르면 진매트릭스, 메디아나, 바이오넷 등이 '메디카 2024'에 참가해 글로벌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메디카는 매년 전 세계의 의료기기 관련 기업과 전문가들이 모이는 행사로, 의료기기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혁신 기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올해는 14일까지 70여 개국에서 6000여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 중이다.진매트릭스 올해 고성능 다중..

카테고리 없음 2024.11.13

미국 원료의약품 공급망 중국에 집중…어떻게 변화할까

미국 원료의약품 공급망 중국에 집중…어떻게 변화할까원료의약품 공급망, 중국·인도 집중향후 정책에 따라 변화 가능성 커져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미국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탈중국’ 움직임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에 집중된 미국의 원료의약품 공급망이 향후 어떻게 재편될지 주목된다.13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약전을 제·개정하고 표준품 및 교육을 제공하는 미국약전위원회(USP)가 최근 미국의 의약품 공급 지도를 발표했다.USP는 기존 제조국 집중도를 이해하기 위해 최신 원료의약품(API) 등록자료(DMF)를 분석했다. API DMF는 인체 의약품의 제조, 가공, 포장 및 보관에 사용되는 시설, 프로세스 또는 물품에 대한 기밀 세부 정보..

카테고리 없음 2024.11.13

2025년 바이오텍, M&A⸱LO 등 밸류에이션 상승...‘변방에서 중심으로’

2025년 바이오텍, M&A⸱LO 등 밸류에이션 상승...‘변방에서 중심으로’주요 LO 6건 가능성 보여준 2024년, 2025년에 바이오텍 가치 증명할  [팜뉴스=김태일 기자] 한국이 바이오 변방이라고 여겨졌던 지난 과거와 달리 전세계 중심에 다가서고 있다. 2025년은 국내 바이오텍 내 ‘좋은 종목’들에 대한 검증이 지속되며, 기술이전 및 임상 등도 더욱 진척될 것으로 판단한다. 2024년은 딜의 ‘건수’가 증가하는 해였다면, 2025년은 더불어 밸류에이션 또한 상향될 해다. 2024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면 2025년은 증명의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신한투자증권 엄민용 연구원은 ‘변방에서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2024년에 대한 분석과 2025년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전망을 내놨다. 엄민용..

카테고리 없음 2024.11.13

한-영 합성생물학·핵융합 등 7개 기술 협력 확대 논의

한-영 합성생물학·핵융합 등 7개 기술 협력 확대 논의제1차 한·영 과학기술 혼성위원회 개최7개 기술 협력 방안 실질 논의 위해 열려  한국과 영국이 합성생물학·핵융합 등 7개 기술 협력 확대를 논의했다.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12일 서울에서 안젤라 맥린(Angella MaLean) 영국 정부수석과학자문관(GCSA)과 양국 대표단 약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한·영 과학기술 혼성위원회를 개최했다. 혼성위는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한국 측은 과기정통부 제1차관을 수석대표로 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와 관련 기관들이 대표단으로 참석했다. 영국측은 영국정부과학자문관(GCSA)를 수석대표로 과학혁신기술부(DSIT), 에너지안보탄소중립부(DESNZ) 담당자가 참석했으며, 보건사회복..

카테고리 없음 2024.11.13

[Funky Science] 암세포를 죽이는 CD8 T세포, 암세포 사냥 해설 영상

[Funky Science] 암세포를 죽이는 CD8 T세포, 암세포 사냥 해설 영상    해당 영상은  우리 몸의 대표적인 암세포 킬러 중 하나인 CD8 T세포가  어떻게 암세포를 죽이는지에 대한 해설 영상입니다!  해당 영상을 시청 후  Perforin 그리고 Granzyme을 활용하여 CD8 T세포가  암세포를 터뜨리는 과정에 대해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기사 오류 신고하기] BRIC Bio통신원(살덩이(필명)) 등록 2024.11.12

카테고리 없음 2024.11.12

새로운 암 치료 전략 제시: 조절T 세포에서 GLUT3를 표적으로 항종양 면역 강화

새로운 암 치료 전략 제시: 조절T 세포에서 GLUT3를 표적으로 항종양 면역 강화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 융합대학원 임신혁 교수(이뮤노바이옴 대표),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 아밋 샤르마(Amit Sharma) 박사 연구팀은 중국 상하이텍 디파얀 루드라(Dipayan Rudra) 교수팀 등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암세포 주변 면역조절 T 세포의 활성을 무력화할 수 있는 신규 물질(GLU3)을 발굴했다. 이 연구는 면역 분야 국제 학술지인 ‘세포 및 분자 면역학지(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에 게재됐다. 면역조절 기능을 가진 T 세포(이하 Treg)는 자가항원 및 음식물 등에 대한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여 우리 몸의 면역 관용을 유지하는 이로운..

카테고리 없음 2024.11.12

헬리코박터균 감염 치료 후보물질 발굴

- 3차원 위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헬리코박터균 감염 초기의 위 세포 손상 기전을 규명하고, 인산화효소 저해제 ʻMLN8054ʼ의 치료 효과 검증- 기존 항생제 치료와 함께 활용 시 치료 효과 극대화 기대 우리나라 위암 발생률은 세계 1위이다. 위암 발병을 높이는 요인으로 식습관,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과 함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손꼽히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치료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국가아젠다연구부 손미영 박사 연구팀은 위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이하 헬리코박터균) 감염에 의한 위 세포 손상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치료하는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카테고리 없음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