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노벨상] “신약 개발 AI 혁명 이끈 과학자”…화학상에 데이비드 베이커·데미스 허사비스·존 점퍼(종합)단백질 구조 예측 AI 만든 딥마인드 연구진새로운 단백질 만드는 AI 선보인 데비이드 베이커 교수몇 년 걸리던 실험을 단 몇 분으로 단축“인류 이익 위해 현기증 날 정도의 성과” 단백질은 생명 현상을 구현하는 일꾼이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란이 되는 것도, 태아가 자라서 어른이 되는 것도, 몸을 움직이고 질병에 걸리는 것도 모두 단백질이 작용한 결과다. 단백질 없이는 생명이 존재하지 못한다. 올해 노벨 화학상은 컴퓨터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인류에게 생명의 기본 단위인 단백질을 마음대로 다루는 능력을 부여한 생명과학자와 컴퓨터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 위원회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