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 동물용 의약품의 국제적 안전성 기준 마련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환경안전성평가센터 김종환 연구팀이 수행한 ‘동물용 의약품 안전성 평가 연구결과’가 국제적 의약품 기준설정에 활용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국제적 기준으로 설정된 동물용의약품은 항원충제로 쓰이는 푸마길린(Fumagillin)과 클로피돌(Clopidol)로, 기존의 과학적 설정 근거 자료가 미흡하고 안전성 평가자료가 부족해 인체의 일일섭취허용량이 설정되지 못했던 의약품이다.
*일일섭취허용량 : 어떤 물질을 일생동안 매일 섭취해도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일 최대 섭취량

연구팀은 동물용의약품에 방사성동위원소(tritum, 3H)를 표지하여 인간이 섭취하는 가식 부위에서 일어나는 동물용의약품의 체내 축적, 분포 및 대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잔류 및 소실경향, 체내에 생성되는 주요 대사산물을 평가함으로서, 국제기관이 요구하는 기준에 따라 가이드라인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식량기구(FAO)의 합동 전문기구인 식품안전성평가전문기구(JECFA)에 반영되어 해당 의약품의 국제적 기준인 ‘일일섭취허용량’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국내 연구 자료가 국제기준으로 설정된 최초사례라는데 의의가 있다.
(각 의약품의 일일섭취허용량 : 푸마길린: 0.003 mg/kg b.w/day, 클로피돌: 0.04 mg/kg b.w/day)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안전성평가센터 김종환 센터장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거동 평가기술은 수행하기 까다로운 실험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만큼, 해당 기술을 활용해 미세플라스틱, 미세먼지와 같은 인체 및 환경 유해 물질의 체내 거동과 독성 영향을 평가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과제 “축수산용 동물의약품 안전성 재평가 연구(2022~2026년)로 수행되었다.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BRIC(ibric.org) Bio통신원(안전성평가연구소) 등록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