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스마트워치로 진단한다
삼성서울병원 주은연 교수, 삼성전자 MX사업부와 공동 연구
‘갤럭시워치4’와 기존 손가락 맥박산소측정기 측정값 비교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민감도 90%·정확도 80% 확인

국내 기술로 개발된 스마트워치가 폐쇄성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OSA)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주은연 신경과 교수가 김동엽 이대서울병 신경과 교수, 삼성전자(005930) MX사업부와 삼성전자의 ‘갤럭시 워치4’를 이용해 진행한 공동 연구에서 이 같은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갤럭시 워치4는 기기 아랫 쪽에 손목 피부와 닿는 반사형 펄스 옥시미터(맥박산소측정기) 모듈을 탑재해 말초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다.
연구팀에 따르면 만 13세~44세의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기존 손가락 맥박산소측정기와 갤럭시 워치4의 산소포화도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두 기기를 통해 얻은 환자들의 산소포화도 값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워치가 손목에 제대로 접촉되지 않아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면 두 기기 간 평균 제곱근 오차값은 2.28%였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시한 성능 기준인 4%는 물론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기준인 3.5% 이하를 충족한 것이다. 기존 맥박산소측정기 대비 평균 오차는 -0.16%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갤럭시 워치 4로 측정한 산소포화도가 감소하는 횟수를 계산해 중등도 이상 OSA 유무를 예측했을 때 정확도는 80%, 민감도는 90%에 달했다.
수면 중 스마트워치 착용만으로 지속적이고 정확한 혈중 산소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간편하게 OSA를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한 것이다. 가장 흔한 수면 호흡장애인 OSA의 국내 유병률은 성인 남성의 4.5%, 여성의 3.2%에 달한다. OSA가 장기화할 경우 기억장애, 판단력 저하, 우울감 등을 유발할 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뇌졸중 등과도 연관이 있어 조기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주은연 교수는 “스마트워치의 도움을 받아 간편하게 수면 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무호흡증 문제를 조기 발견해 치료할 수 있다"며 "수면호흡장애와 연관된 심뇌혈관질환 및 대사질환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의 저명한 수면 의학 학술지 ‘슬립 헬스’ 최근호에 게재됐다.
삼성서울병원은 주은연 신경과 교수가 김동엽 이대서울병 신경과 교수, 삼성전자(005930) MX사업부와 삼성전자의 ‘갤럭시 워치4’를 이용해 진행한 공동 연구에서 이 같은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갤럭시 워치4는 기기 아랫 쪽에 손목 피부와 닿는 반사형 펄스 옥시미터(맥박산소측정기) 모듈을 탑재해 말초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다.
연구팀에 따르면 만 13세~44세의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기존 손가락 맥박산소측정기와 갤럭시 워치4의 산소포화도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두 기기를 통해 얻은 환자들의 산소포화도 값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워치가 손목에 제대로 접촉되지 않아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면 두 기기 간 평균 제곱근 오차값은 2.28%였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시한 성능 기준인 4%는 물론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기준인 3.5% 이하를 충족한 것이다. 기존 맥박산소측정기 대비 평균 오차는 -0.16%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갤럭시 워치 4로 측정한 산소포화도가 감소하는 횟수를 계산해 중등도 이상 OSA 유무를 예측했을 때 정확도는 80%, 민감도는 90%에 달했다.
주은연 교수는 “스마트워치의 도움을 받아 간편하게 수면 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무호흡증 문제를 조기 발견해 치료할 수 있다"며 "수면호흡장애와 연관된 심뇌혈관질환 및 대사질환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의 저명한 수면 의학 학술지 ‘슬립 헬스’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경제(sedaily.com) 안경진 기자 입력2022-07-25 12:5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