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 앓는 여성, 자살경향성 높아 치료 중요

편두통 환자는 우울·불안 증상이 흔히 동반되며, 자살경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두통은 일차두통(원인질환 없이 생기는 두통) 중 긴장성 두통 다음으로 흔한 두통이다. 국내 유병률이 17% 정도로 많으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흔하다.
경북대병원 신경과 서종근 교수 연구팀은 국내 11개 병원의 두통클리닉(신경과)으로 내원한 편두통 환자 358명을 대상으로 편두통에서 자살경향성과 위험인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자살경향성이 있는 편두통 환자는 33%로 118명이었고, 그 중 여성이 94.1%로 남성 5.9%에 비해 자살경향성이 높았다. 자살경향성이 동반된 편두통 환자군에서 주요우울장애와 범불안장애가 있는 환자는 각각 8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자살경향성이 없는 편두통환자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더 높은 수치였다. 편두통 환자에서 자살경향성의 위험인자는 여성, 두통 지속 시간, 우울감, 그리고 불안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편두통과 자살경향성 사이의 연관성은 세로토닌 계통의 이상,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기능장애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신경과 대표적 질환인 편두통 환자에서 자살경향성이 흔하게 동반된 것을 알 수 있었다"며 "특히 여성 편두통 환자에서 자살경향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여성 편두통 환자를 진료할 때 자살경향성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연구팀은 편두통 지속 시간이 길수록 자살경향성과 연관성이 있어 두통 조절을 위한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편두통 환자에서 동반된 우울 및 불안감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편, 편두통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중등도 이상의 박동성 두통을 특징으로 한다. 두통 중 구역, 구토, 빛공포증, 소리공포증이 동반될 수 있다. 편두통은 심한 두통으로 인해 환자의 업무, 학업, 가사 등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크고 환자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해당 연구논문은 대한신경과학회지 8월호에 게재됐다.
편두통은 일차두통(원인질환 없이 생기는 두통) 중 긴장성 두통 다음으로 흔한 두통이다. 국내 유병률이 17% 정도로 많으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흔하다.
경북대병원 신경과 서종근 교수 연구팀은 국내 11개 병원의 두통클리닉(신경과)으로 내원한 편두통 환자 358명을 대상으로 편두통에서 자살경향성과 위험인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자살경향성이 있는 편두통 환자는 33%로 118명이었고, 그 중 여성이 94.1%로 남성 5.9%에 비해 자살경향성이 높았다. 자살경향성이 동반된 편두통 환자군에서 주요우울장애와 범불안장애가 있는 환자는 각각 8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자살경향성이 없는 편두통환자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더 높은 수치였다. 편두통 환자에서 자살경향성의 위험인자는 여성, 두통 지속 시간, 우울감, 그리고 불안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편두통과 자살경향성 사이의 연관성은 세로토닌 계통의 이상,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기능장애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신경과 대표적 질환인 편두통 환자에서 자살경향성이 흔하게 동반된 것을 알 수 있었다"며 "특히 여성 편두통 환자에서 자살경향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여성 편두통 환자를 진료할 때 자살경향성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연구팀은 편두통 지속 시간이 길수록 자살경향성과 연관성이 있어 두통 조절을 위한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편두통 환자에서 동반된 우울 및 불안감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편, 편두통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중등도 이상의 박동성 두통을 특징으로 한다. 두통 중 구역, 구토, 빛공포증, 소리공포증이 동반될 수 있다. 편두통은 심한 두통으로 인해 환자의 업무, 학업, 가사 등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크고 환자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해당 연구논문은 대한신경과학회지 8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