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 보건과학융합연구소, 암생존자의 체중과 삶의 질 연관성 밝혀
국제학술지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게재

[한국대학신문 조영은 기자] 충북대학교(총장 김수갑) 보건과학융합연구소 박종혁 소장(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암 치료 이후 암생존자의 적절한 체중 유지가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U-shaped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mpairment in Korean cancer survivors: a nationwide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survey’라는 논문으로 암생존과 관련된 예방‧관리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암 생존 저널)>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제8기(2007-2018) 자료를 활용해 암 진단 후 최소 5년 이상 생존 중인 1104명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EQ-5D를 이용해 측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암생존자들을 BMI(체중을 신장의 제곱수로 나눈 수치)에 따라 저체중(<20kg/m2), 건강체중 (20~22.9kg/m2), 과체중(23~24.9kg/m2), 비만(≥25kg/m2)의 4그룹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저체중이거나 비만한 암생존자에서 운동능력, 일상생활 활동, 통증ㆍ불편, 불안ㆍ우울과 같은 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 영역에서 어려움이나 문제를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건강관련 삶의 질은 건강체중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이 저하될 가능성은 건강체중 그룹에 비해 저체중 그룹에서 1.73배, 비만 그룹에서 2.14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주저자인 박종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암 예방뿐만 아니라 암 치료 이후의 암생존자 건강관리에서도 적절한 체중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며 “특히 신체적 기능‧정신건강 등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한국대학신문(unn.net) 조영은 기자 cyecmu@unn.net 입력 2022.03.16 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