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 2028년 3,591억弗

산포로 2024. 2. 19. 10:00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 2028년 3,591억弗
2023년 2,626억弗서 연평균 6.5% 준수한 성장 전망
 
 
 

지난 2022년에 2,482억 달러 규모를 형성한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ADDS) 시장이 지난해 2,626억 달러를 거쳐 오는 2028년에 이르면 3,591억 달러 볼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부터 2028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연평균 6.5% 안팎의 준수한 성장을 거듭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아일랜드 더블린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리서치&마켓社는 15일 공개한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글로벌 마켓 및 기술’ 보고서에서 이 같이 예측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각종 치료제 개발의 진전과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 재료‧신소재 과학 분야의 혁신 등에 힘입어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이 이처럼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됐다.

 

하지만 잠재적 위험성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로 인해 나노입자의 도입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은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이 확대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에서 기술별로 보면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은 신속방출 약물전달, 서방형 방출 약물전달, 표적방출 약물전달, 지연방출 약물전달 및 박동성 방출(pulsatile-release) 약물전달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 중 서방형 약물전달 부문이 복잡한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데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 힘입어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방형 약물전달이 체내 약물수치의 변동을 최소화시켜 환자들의 복약준수도 향상 뿐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의약품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좀 더 장시간에 걸친 증상완화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이다.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은 이와 함께 약물 투여경로별로 볼 때 경구, 비경구/주사, 근육 내 주사, 삽입(implant), 경피(經皮) 및 국소도포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 중 경구용 부문이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 보고서는 비용효율성과 용량조절의 유연성 및 제조상의 간편성 등 경구 투여경로의 유익성에 따라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상기시켰다.

 

약물 수송체/운반체별로 보면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은 나노입자, 모노클로날 항체, 리포솜, 고분자 의약품(polymer therapeutics), 약물 전구체, 미세입자 및 기타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모노클로날 항체 부문은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배경으로 가장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한편 첨단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은 적용대상 질병별로 볼 때, 암, 호흡기 질환, 염증성 질환 및 알러지, 심혈관계 질환, 안과 질환, 중추신경계 질환, 호르몬 대체요법제, 여성질환,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 질환, 당뇨병, 비뇨기 질환, 위장관계 장애, 피부병 및 기타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 가운데 당뇨병 부문은 유병률의 증가와 함께 스마트 인슐린 전달 디바이스의 도입 등에 힘입어 가장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과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약업신문](yakup.com)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입력 2024.02.16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