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차세대 바이오 혁신 신약 들여다보기] 한입 바이오 뉴스 #02. 8월 1주 차 주간 한입 뉴스...최초의 TCR-T 치료제의 등장

산포로 2024. 8. 21. 10:34

[차세대 바이오 혁신 신약 들여다보기] 한입 바이오 뉴스 #02. 8월 1주 차 주간 한입 뉴스...최초의 TCR-T 치료제의 등장

 

🗞️ 8월 1주 차 주간 한입 뉴스

 

어댑티뮨이 창사 16년 만에 첫 승인의 깃발을 올렸습니다. 🤩

 

TCR-T 치료제 개발사 어댑티뮨(Adaptimmune)에게  첫 승인의 영광을 안겨준 주인공은 활막육종 치료제인 테셀라(Tecelra)입니다! 

 

키메라 수용체를 이용하는 CAR-T와 달리 TCR-T는 T 세포 수용체(TCR)가 암세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유전자 변형된 세포 치료제입니다. 

 

이번 승인을 통해 테셀라는 최초로 승인된 TCR-T이자 고형암 최초로 승인된 유전자 변형 세포 치료제라는 최초 수식 타이틀을 동시에 획득했습니다. 🥇

 

이외에도 임상 소식, 새로운 혈액 진단 등 다양한 소식을 카드뉴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

 

기사 원문이 궁금하다면 👉 Bio 텔레그램 링크로!

 

#스타트업 #생명과학 #약사 #의사 #제약회사 #경제

 

 

 


제약/의료기기 산업 트렌드를 한 번에, 

 

한입바이오뉴스

최초의 TCR-T 치료제의 등장 8월 1주 차 주간 트렌드.zip

 

01  최초 승인 타이틀 독식하는 어댑티뮨

 

어댑티뮨의 세포 치료제 테셀라가 활막육종 치료제로 가속 승인.

테셀라는 환자의 T세포에 발현된 수용체 TCR이 종양을 공격하도록 전환시킨 세포 치료제.

최초로 승인된 TCR 기반의 치료제이자 고형암 최초의 유전자 변형 세포 치료제.

임상 2상에서 객관적 반응률 43%와 완전 관해율 4.5% 기록.

 

02 유럽 승인 거절 반전 꾀하는 레켐비 

 

레켐비 3년 복용 시 인지 기능 감소에서 위약군 대비 31% 개선 효과 확인.

 

미국 승인의 기반이 되었던 18개월 투약 결과 (27%)보다 

 

개선되어 장기 복용 시 효능이 증가함을 입증.

 

부작용으로 논란이 있었던 투약 첫 6개월 후로 

 

추가적인 부작용이 없어 안전성 이슈도 일부 해결.

 

03 암백신 개발 이끄는 코로나 백신 개발사

 

mRNA 치료제 전문 회사 바이오엔텍이 

 

흑색종 임상 2상에서 암 백신의 유의미한 효능 입증에 성공.

 

mRNA백신 BNT111과 리제네론의 면역 항암제 립타요의 병용 투여 시 

 

면역 항암제 단독 요법 대비 객관적 반응률 개선. 

 

구체적인 임상 결과는 아직 미공개로 추후 학술 대회에서 공개 예정.

 

04 갈라파고스도 부딪힌 CAR-T 개발의 벽 

 

갈라파고가 자사의 CAR-T GLPG5301의 다발성 골수종 초기 임상을 중단. 

 

치료를 받은 한 환자가 파킨슨 증후군과 관련된 운동 증상을 보인 것이 원인.

 

이는 해당 치료제와 같이 BCMA를 표적 하는 CART의 공통적인 부작용. 

 

이미 승인된 카빅티와 아베크마의 FDA 라벨에도 해당 내용 표기.

 

05 조금씩 가까워지는 암 혈액 진단의 미래 

 

가던트헬스의 암 진단 혈액 검사 실드가 

 

대장암 1차 검진에 사용될 수 있도록 승인. 

 

대장암에서 떨어져 나와 혈액 속에 존재하는 

 

ctDNA를 감지해 암을 진단하는 원리. 

 

기존의 대장 내시경 및 분변 검사보다 간편해 대상자들이 

 

암 검진을 받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


제약/의료기기 산업 트렌드를 한 번에,

 

한입 바이오 뉴스

 

SINCE 2024

⭐  Linkedin : https://www.linkedin.com/company/bbainsight/posts/
⭐  IG : https://www.instagram.com/hannip_bio_news?igsh=MTAzenhvZjhlaGFmbA==
⭐  Telegram : https://t.me/HANNIPBIOFOREST
⭐  blog : https://blog.naver.com/bio-forest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BRIC(ibric.org) Bio통신원(한입 바이오 뉴스 (임태환)) 등록 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