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유전체 정보기반 동향과 전망

산포로 2015. 2. 4. 18:14

유전체 정보기반 동향과 전망

 

선정사유

 

고령화로 인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면서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맞춤의약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최소 단위 정보인 유전체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2014년도 미래부·복지부·농식품부·해양부·산업부·농진청 등 관계부처 중심으로 ‘포스트 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이 진행 중이다.

 

* 포스트 게놈시대

2003년 인간 유전체 전장을 해독하는 ”인간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가 완성된 이후 시대로 과학사의 새로운 시대를 지칭

 

** 다부처 유전체 사업

미래 생명산업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국내 6개 부·청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국가적 유전체 사업으로 2021년까지 8년 동안 5,78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

 

개요

 

정의유전체(genome)는 유전자를 의미하는 ‘gene’과 염색체를 의미하는 ‘chromosome’의 합성어로, 세포 내 유전물질의 총체이며, 유전체 연구는 한 개체의 모든 유전자들의 총합체인 유전체(Genome) 및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분야다.

 

<유전체의 개념 및 분류> 

※ 출처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미래부 BT 분야 투자전략(안), 2013

 

유전체는 연구의 대상 및 특징에 따라 구조·기능 유전체, 기초·응용 유전체, 동물·식물·미생물·인간 유전체로 분류된다.

 

 

주요 내용

 

활용분야일반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질병 예방, 진단 치료 및 관리 등의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는 유전체에 대한 관심도 증대했다. 개인의 유전자 정보에 기반해 최적의 약물과 복용량 등을 결정해주는 맞춤형 치료제는 이미 의료 현장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➊ 예방·진단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맞는 유전정보 빅데이터 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질병을 예측·예방하고 개인 맞춤의 약물처방, 식이·운동 등 다양한 건강생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➋ 치료

개인의 유전자 정보에 기반해 최적의 약물과 복용량 등을 결정해 주는 맞춤형 치료*, 약물 유전체서비스가 현재 의료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 맞춤형 치료 : 개별 유전적 정보에 기반해 환자에게 가장 안성맞춤인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

 

국내·외 정책동향

 

국외 동향미국은 전 세계의 유전체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오바마 정부는 맞춤의학 연구개발 강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인간유전체 분야의 다학제·다기관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연 3,100억원 규모 지원)

 

영국은 카메론 수상이 직접 ‘10만명 환자유전체 분석계획*’을 2012년에 발표했다.

 

* 10만 게놈 프로젝트

암과 희귀 유전 질환자의 혈액 샘플로 유전 정보를 분석해 매년 33만 명씩 새로 생기는 암환자와 인구 17명당 한 명꼴인 희귀 질환자(영국 기준) 치료목적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로 2017년까지 총 10만 명분의 유전정보를 활용 예정

 

중국은 Beijing Genomics Institute*에서 인간 유전체 다양성 연구, 1000 Plant Genome Project를 수행 중이다.

* 중국 BGI는 전 세계 유전체 데이터의 20~25%에 해당하는 정보를 확보하고 있으며, 정보 분석 인력을 1,000명 이상 보유하고 있다. 유전체 정보생산 및 기초분석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관이다.

 

일본은 RIKEN(이화학연구소)의 ‘혁신적 세포해석 프로그램’으로 질병 및 유전체 변이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싱가포르는 과학기술연구청의 생의학 연구소인 유전체 연소(Genome Institute of Singapore, GIS)에서 유전체 관련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 중이다.

 

국내 동향

 

우리나라는 2010년 8월 게놈연구재단 소속의 게놈연구소에서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국인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한국인 유전체의 대표적 표준 DB를 구축하는 공익적 프로젝트 또한 2014년 2월 정부는 미래유망 분야인 유전체 산업육성을 위해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 계획을 발표하였다.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www.bioin.or.kr)

 

한국연구재단웹진 2015. 2. 04
http://webzine.nrf.re.kr/nrf_1502/?chapter=2&su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