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미국 중 생명과학 업계에 ‘역공’
EC 의료기 조달시장 조사...미국 바이오안보법 추진

[의학신문·일간보사=김자연 기자] 유럽과 미국 정부가 중국의 의료기기 및 제약·생명공학 업계에 대해 경계를 높이고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EC)는 중국 의료기기 공공 조달 시장에 대한 공정한 접근에 관해 조사를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그동안 중국 시장 접근에 관해 유럽 기업과 정부의 불만이 높았던 가운데 특히 중국 의료기 공공 조달 시장에서 유럽 기업 및 제품에 대한 불공정한 차별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EC는 설명했다.
이에 EC는 유럽과 중국의 무역 관계를 바로잡고 양측의 공공 입찰 시장에 공정한 접근을 촉진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는 세계 공공 입찰 시장에서 상호주의 증진을 위해 2022년 구성된 유럽 국제 조달 기구(IPI)의 첫 조사로 주목된다.
이에 따르면 그동안 중국은 의료기기 응찰 기업에 대해 국산 구매 정책, 수입 제한, 영리 기업이라면 낼 수 없을 정도로 비정상적으로 낮은 호가 등 현지 업체에만 유리한 정책을 불공정하게 펼쳤다는 설명이다.
조사는 9개월 이내에 결론 날 예정이며 5개월 더 연장도 가능하다. 조사 결과에 따라서 유럽은 EU 공공 입찰에 중국 의료기기 업체의 응찰을 막거나 낮은 점수를 주는 등 제재할 수 있게 된다.
EC는 이에 대해 과거 중국과 의료기기 문제에 관한 논의에 소득이 없었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상호 합의 가능한 해법에 도달하기 바란다고 평했다.
로이터에 의하면 이에 대해 필립스 등이 소속된 주중 유럽 상공회의소도 중국 경영 유럽 기업 가운데서 중국 정부의 조달에 대한 불공정한 접근이 오랜 문제였다며 환영의사를 밝혔다.
유럽 의료기 협회도 이에 대해 그동안 중국 입찰이 중국산 구매 정책 등의 장애물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환영했다.
한편 미국 의회에서는 바이오안보법(Biosecure Act)이 추진되며 중국 생명공학사를 노리고 있다.
이와 관련, 미국에서는 보건 데이터 및 의약품 특허에 대한 중국의 접근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수십년간 제네릭 생산에도 중국에 의존돼 주요 의약품에 대한 중국 정부의 시장 조작에 대한 위험도 지적되고 있다.
이 법안은 국가 안보 상 우려되는 적대국 생명공학사 등에 대해 미국 기업의 협력 및 계약 연장 등을 금지하는 내용이다.
그 중에서도 우시 앱택 및 바이올로직스와 BGI 지노믹스 및 자회사인 컴플리트 지노믹스, MGI 등 미국 제약사와 상당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 기업을 정조준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법안에 의하면 우시는 중국 공산당의 인민 해방군과 연계된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우시의 주가는 올초 바이오안보법이 상원에 도입된 이래 반토막 났다.
뉴욕 타임즈에 의하면 우시 앱텍 및 바이올로직은 미국서 의약품 개발의 1/4에 관여해왔으며 릴리의 터제파타이드에 관해 기본 성분의 일부도 생산 중이다.
이에 따라 이들 중국 생명공학사와 협력 관계인 미국 기업에도 여파가 예상되는 가운데 새로운 계약 업체를 찾아야 될 수 있으며, 특히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 업체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라고 파렉셀은 내다봤다.
이와 관련, 최근 퍼스트워드 파마에 따르면 이미 릴리, 버텍스, 베이진 등의 미국 기반 제약사들은 바이오보안법에 대응해 다른 공급자를 물색하고 있다.
노바티스의 CFO 역시 법이 발효될 때까지 여파를 받지 않도록 중국 기업과 계약 관계 변경을 고려하고 있다고 공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