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의료진이 소아 위장염 환자의 혈액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균종을 처음 발견해 국제 학계에 보고했다.
중앙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미경·권오주 교수팀은 최근 발열과 구토 복통으로 내원한 소아의 혈액에서 분리된 ‘그람 양성 세균(Gram stain-positive bacterium)’이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은 신종 균종임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해당 균종의 이름을 중앙대의 영문 이니셜(CAU)과 사랑(愛)의 한자 발음을 붙여 ‘중앙대 사랑’의 의미를 담아, ‘아르세니시코쿠스 카우애(Arsenicicoccus cauae)’로 명명해 균종명을 등록했다.
중앙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미경·권오주 교수팀은 최근 발열과 구토 복통으로 내원한 소아의 혈액에서 분리된 ‘그람 양성 세균(Gram stain-positive bacterium)’이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은 신종 균종임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해당 균종의 이름을 중앙대의 영문 이니셜(CAU)과 사랑(愛)의 한자 발음을 붙여 ‘중앙대 사랑’의 의미를 담아, ‘아르세니시코쿠스 카우애(Arsenicicoccus cauae)’로 명명해 균종명을 등록했다.
또 균주를 국내 기관인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과 일본 바이오자원연구센터(RIKEN) 산하 균주 보관기관인 일본 JCM(Jap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에 기탁했다.
‘아르세니시코쿠스 카우애’ 균종은 배양 속도가 느린 그람 양성 알균(cocci)으로 생화학적 검사, 단백질 분석, 16S리보솜RNA유전자 염기서열분석으로는 정확한 균종 확인이 불가능해 세균의 전체 유전체분석(WGS)을 시행해 세계 최초로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그람 양성균은 그람 염색법(최초 개발자 이름을 따서 붙임)에 의해 짙은 자주색을 보이는 세균을 말한다. 결핵균 디프테리아균 파상풍균 폐렴균 포도상구균 등이 있으며 위액이나 소화 효소에 잘 견디는 걸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실험적 분석을 추가 시행해 새롭게 발견된 이번 균종명과 균주 특성을 분석한 연구 논문을 ‘국제 미생물분류학회지(IJSEM) 5월호에 발표했다.
이미경 교수는 “기존 검사법으로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 세균에 대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해 새로운 균종임을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kmib.co.kr)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입력 : 2022-06-13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