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영틀신반] Episode #55 - 아이덴티티(Identity)...해리성 정체감 장애

산포로 2024. 4. 12. 13:20

“정체성은 비밀이다.”

 

   

이미지 출처: https://namu.wiki/w/%EC%95%84%EC%9D%B4%EB%8D%B4%ED%8B%B0%ED%8B%B0(%EC%98%81%ED%99%94)

영화 <아이덴티티(Identity)>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 "아이덴티티"는 심리적인 스릴과 수수께끼로 가득한 스릴러 작품이다. 주인공들이 비밀스럽게 모여 있는 모텔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각각의 등장인물들이 갖고 있는 아이덴티티와 비밀이 해결되어 가는 과정을 그린다. "아이덴티티"는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다중 인격, 기억 손상, 정신적인 요소 등이 다뤄진다. 영화 속 다양한 인물들의 아이덴티티와 그들 간의 연결점을 통해 복잡한 퍼즐을 풀어가는 과정이 흥미롭다. 특히,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를 이번 영화를 통해 다루겠다.
 
‘폭우 속의 잇단 사고, 모텔에 고립된 11명의 사람들’
 
어느 폭풍우가 몰아치는 밤, 네바다 주 사막의 외딴 모텔에 서로 모르는 10명의 사람이 투숙하게 된다. 배우 직업을 가진 개롤라인 수잔과 그녀의 리무진 운전기사 에드, 네바다 교정청 소속 교도관 로즈와 호송 중인 살인범 로버트, 그리고 라스베이거스의 매춘부 페리스, 라스베이거스에서 갓 혼인식을 치른 루와 지니, 가족인 조지, 앨리스, 티모시,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경질적인 모텔 주인 래리까지 총 11명이 영화에 등장한다. 몰아치던 폭풍우는 점점 거세져서 전화선마저 끊겨버리고, 모텔에 고립되어 버린 사람들은 어둠과 폭우가 지나가기를 기다린다. 그런데, 하나 둘 살해당하기 시작한다. 
 
‘내 안의 또 다른 나??’
 
해리성 장애(Dissociative Disorder)의 하나로 한 사람 안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감이나 인격 상태가 존재한다. 이 외에 해리성 장애 안에 속한 질환으로는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가 있다(출처 1). 해리성 기억상실은 과거 경험이나 개인적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리성 둔주는 자신의 과거에 대해 회상하지 못하고 일부 혹은 완전히 새로운 정체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인성 장애도 있는데, 이인증과 비현실감이 주된 증상이다. 증상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들이 가지는 다중 인격의 수는 평균 5 ~ 10가지 정도이다. 성격 간의 이동은 때로는 매우 급작스럽고 드라마틱하게 이루어진다. 환자들은 각각의 성격에서 경험한 것들을 일반적으로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성격의 존재를 완벽하게 인지하기도 하고 때로는 본인이 아닌 친구 같은 남으로 경험하기도 한다. 성격은 성을 달리 할 수도 있고 원래 가족의 기원과 다른 인종과 나이를 가지기도 한다(출처 1).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원인을 살펴보면, 대부분 매우 충격적인 스트레스 사건이나 고통스러운 경험이 그 원인이 된다고 한다. 그 원인에 대해 세분화해서 본다면, 그림 1과 같이 다양한 요소들이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미지를 누르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림 1.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원인들. 
극도의 감정적 스트레스를 유도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해리성 정체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출처 2).

 

‘정체성은 살인자다.’

 

빠져나갈 수 없는 모텔에선 예측할 수 없는 연쇄살인으로 투숙객들은 공포에 빠진다. 살인사건 현장에는 오직 모텔 방 번호가 적인 열쇠만 남겨져 있다. 한 명 한 명 죽을수록 남은 사람들은 더욱 몸부림을 친다. 그러나 열쇠는 방 번호 순서대로 카운트 다운을 하며, 다음 살인을 예고한다. 공포감이 휘몰아치는 이 와중에 살해된 사람들의 시체가 어떠한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일이 발생한다. 이런 기괴한 사건들과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들이 맞물리면서, 생존자들끼리 서로 의심하기 시작한다. 

 

‘뇌 활성이 정상인과 다른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

 

여러 뇌 활성 진단 방법 중에 하나인 SPECT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스캔은 뇌의 혈류와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핵의학 영상 기법으로, 단일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을 의미한다. 이 기법은 감마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추적자를 혈류에 주입하여 사용되며, 특수 카메라로 뇌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다. 그 후, 이 데이터는 처리되어 뇌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혈류와 활동이 증가 또는 감소한 영역을 보여준다(그림 2). SPECT 스캔은 해리성 정체성 장애(DID)를 비롯한 다양한 정신 장애의 연구에 사용되며, 특히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 간의 뇌 혈류량 차이를 보여주는 영역인 양측 후측 연관 피질과 내측 전전두피질과 같은 영역에서 특히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미지를 누르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림 2. 정상인과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의 SPECT 스캔. 
왼쪽은 해리성 정체감 환자의 뇌이고, 오른쪽은 건강한 대조군의 뇌이다. 화살표로 표시한 뇌 부위들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출처 3). 

 

또 다른 뇌 영상 분석 비교결과를 보면, SPECT 스캔의 결과와 같이 정신인의 뇌와 환자의 뇌의 활성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3).

 

(이미지를 누르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림 3.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의 뇌에서 구별되는 근본적인 이상 패턴을 보여주는 포워드 맵. 
(a) 회백질과 (b) 백질의 두 부분으로 분류하여 관찰하였다. 양수 계수는 DID에 유리한 긍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내고 음수 계수는 건강한 대조군에 유리한 긍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낸다. 
이미지는 축 방향 보기에서 연구별 해부학 템플릿에 스케일링되어 오버레이 된다 (출처 4). 

 

이 포워드 맵은 DID를 가진 개인의 분류에 기여하는 뇌 영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신경해부학적 근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정체성은 비밀이다. 그리고 불가사의하다.’ 

 

기괴한 사건들과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생존자들은 극도의 공포 속에 빠져들게 되고 서로가 서로를 의심하는 가운데 모두가 기억조차 하기 싫었던 모두의 공통점이 서서히 베일을 벗는데...

 

‘해리성 정체감 장애 중에 하나인 해리성 기억 장애’ 

 

해리성 기억상실증은 해리성 장애에서 흔히 나타나는 해리성 증상으로, 일상적인 사건이나 중요한 개인(외상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데 반복적으로 공백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일반적인 건망증과는 구별된다. 해리성 장애 중 가장 심각한 장애는 해리성 정체성(정체감) 장애이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쇠약해지는 정신과 질환으로, 자서전적 정보에 대한 접근이 변화하면서 의식 상태와 성격 상태가 번갈아 나타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해리성 기억상실증은 그 신경생물학적 기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출처 5).

 

(이미지를 누르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림 4. 해리성 기억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뇌 절편. 
해마의 한 부위인 CA1의 오른쪽과 왼쪽 부분에서의 뇌 활성과 해리성 기억 장애 지표를 서로 비교한 그래프이다(출처 5). 

해리성 경험 척도(DES)로 평가한 해리성 기억 장애(상실증) 점수의 증가와 뇌 좌우의 CA1의 용적 감소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한 종류인 기억 장애 환자에게서 보이는 뇌의 특정 부위 활성의 이상 관찰은 해리성 기억 장애(상실증)에 대한 바이오 마커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그림 4). 
 
‘정체성은 살인자다.’ 
 
사실 모텔에서 벌어지고 있던 의문의 살인사건들에 등장한 모든 사람들은 해리성 정체감 장애를 겪고 있는 말콤의 또 다른 여러 인격들이었고 모텔에서 벌어지는 일은 말콤의 머릿속에서 다른 인격을 차례로 지워가고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말콤을 지켜보는 검사와 정신과 의사는 현실 세계에서 지금껏 살인을 저지른 말콤이 어떤 정신상태인지 확인하고 있는 중이었다. 
 
극 중 주역 격인 '에드'는 정신과 의사 말릭이 말콤의 '폭력적인 인격'을 제거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만든 '형사의 인격'이다. 후반부에 밝혀진 모든 인물들의 생일이 5월 10일로 같은 이유는 그들 모두가 말콤의 다중 인격임을 보여주는 핵심 단서였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들’ 
 
해리성 정체감 장애 치료에는 다양한 치료법, 정신과 약물, 대처 전략이 복합적으로 사용된다. 이전에 다중인격 장애 또는 분열성 인격 장애로 알려진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개인의 기억, 지각, 사고, 행동에 뚜렷한 단절이나 불연속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증상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각한 고통을 유발한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없지만, 꾸준한 치료를 통해 여러 정체성을 통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고 한다(그림 5). 
 
심리치료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의 주요 치료법으로, 종종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리성 에피소드는 스트레스나 과거의 트라우마에 대한 상기 등으로 인해 촉발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고통스러운 기억을 처리하고,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를 관리하고, 대처 기술을 가르치고, 여러 정체성을 하나의 기능적인 사람으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인지 행동 치료, 변증법적 행동 치료, 정신역동적 심리 치료, EMDR 치료, 스키마 치료 등 다양한 치료적 접근법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인지 행동 치료(CBT)는 역기능적 사고가 역기능적 행동이나 감정으로 이어진다는 믿음에 기반합니다. 예를 들어, 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해리성 장애인은 인간관계에서 항상 부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CBT는 이러한 부정적인 사고 패턴에 도전하고 현재의 현실에 기반한 사고로 대체합니다. 또한 CBT는 개인이 과거의 트라우마를 처리하고 DID에서 흔히 발생하는 우울증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미지를 누르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림 5. 해리성 정체감 장애를 극복하는 다양한 방법들(출처 6). 

 

많은 정신 질환과 마찬가지로 해리성 정체감 장애에 대한 치료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개인 및 그룹 심리치료 외에도 다음과 같은 치료법이 해리성 증상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알려진 증상별 약물에 대한 리스트는 증상별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그림 6).

 

(이미지를 누르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림 6.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각 특정 증상별 사용되는 약물(출처 7)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요인들 중에 스트레스가 가장 큰 것으로 꼽힌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삶의 활력과 생동감을 불러 넣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 된다는 것이 익히 알려져 있다. PTSD처럼 강한 순간의 스트레스 경험은 정신질환을 야기시키는데, 여러 다양한 정신질환 중에도 해리성 정체감 장애가 주요하게 다뤄진다. 결국, 스트레스를 안 받는 것이 제일 좋겠지만, 그럴 수 없기에, 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풀어주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 학업/업무 그리고 연구에 대한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시간을 꼭 설정하고 실천해 보자. 
 
출처:

3. Liu, P. (2022).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Understanding of DID, Symptoms and Causes “.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 Medicine and Biological Sciences, 11(1).
4. Reinders, A. A., Marquand, A. F., Schlumpf, Y. R., Chalavi, S., Vissia, E. M., Nijenhuis, E. R., ... & Veltman, D. J. (2019). Aiding the diagnosis of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pattern recognition study of brain biomarker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15(3), 536-544.
5. Dimitrova, L. I., Dean, S. L., Schlumpf, Y. R., Vissia, E. M., Nijenhuis, E. R., Chatzi, V., ... & Reinders, A. A. (2023). A neurostructural biomarker of dissociative amnesia: a hippocampal study in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Psychological Medicine, 53(3), 805-813.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BRIC(ibric.org) Bio통신원(박성모) 등록일202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