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팀이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도 우리나라에서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국산 잠두 품종을 개발했다. 잠두(누에콩, faba bean)는 유럽·중동·아프리카 등에서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활용되는 작물로 영양소가 풍부하고 체중조절·면역력 향상 효과 등이 뛰어나 '슈퍼푸드(Superfood)'로 불린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권순재 첨단방사선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이 방사선육종 기술로 국내 최초 잠두 신품종인 '원잠1호'를 개발해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을 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4년 미국 농업연구청으로부터 잠두 371점을 분양받아 신품종 개발을 진행했다. 먼저 국내 기후에 잘 적응하고 벼나 콩 등과 함께 돌려짓기(윤작)가 가능한 PI469181 계통을 원품종으로 선발했다. 이후 감마선조사, 계통육성 및 선발, 재배평가와 변이검정 등 육종 과정을 거쳐 내한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해 원잠1호로 이름 짓고 올해 3월 품종보호출원을 신청했다.

원잠1호의 동절기간 작물 생존 비율인 월동률은 96%다. 원품종의 64%보다 훨씬 높아 한국의 추운 겨울과 토양에서도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잠1호의 우수한 내한성을 바탕으로 독일 라이프니츠연구소 산하 IPK 연구소와 공동으로 내한 관련 유전자 발굴도 추진한다.
잠두와 잠두잎에는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능력 저하를 막는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의 전 단계인 'L-도파'가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엄석현 경희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잠두잎을 활용한 조미료, 차 제조법, 육류 냄새 제거법 등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하는 등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잠두 활용법도 모색중이다.
정병엽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원잠1호 개발은 국내 식량 확보 및 국민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방사선육종을 통한 신품종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