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량이라도 매일 술마시면 소화기암 위험 1.4배 높다
유정은·신동욱 연구팀, 학술지 게재

폭음이 아니더라도 소량의 술을 매일 마시면 소화기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정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교수와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2009~2011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수검자 중 암 진단 이력이 없는 만 40세 이상의 1100만명을 대상으로 음주 패턴에 따른 소화기암 발생을 2017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의 주당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비음주군, 경도 음주군(104g 이하), 중등도 음주군(105~209g), 과음군(210g 이상)으로 나눠 음주 횟수와 음주량에 따른 소화기암 발생 위험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소화기암 발생은 주당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늘어나 과음군의 소화기암 발생 위험은 비음주군보다 1.28배 높았다. 또 음주 빈도에 따라서도 지속적으로 늘어났는데, 술을 매일 마시면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대조군)보다 소화기암 발생이 1.39배 높았다. 위암(1000명당 1.39명), 대장암(1.35), 간암(0.88), 췌장암(0.67), 담도(0.33), 식도(0.11) 순으로 발병했다.
반면 1회 음주 시 5~7잔을 마시는 경우 대조군에 비해 소화기암 발생이 1.15배까지 증가했지만 음주량이 그 이상으로 늘어나더라도 소화기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1회 음주량보다 음주 빈도가 소화기암 발생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현재 암 발생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에서는 하루 음주량을 남성의 경우 2잔, 여성의 경우 1잔 이하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는 등 알코올 섭취량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