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미 임상시험 종결점 가이드 발표

산포로 2022. 10. 26. 15:33

미 임상시험 종결점 가이드 발표

여러 종결점 평가 시, 다중성 조정·관리 방안

 

 

[의학신문·일간보사=김자연 기자] 미국 FDA가 임상시험 종결점에 관한 가이드라인(Multiple Endpoints in Clinical Trials Guidance for Industry)을 발표했다. 이는 동시에 여러 종결점을 검토하면서 신약후보의 효과를 평가할 때의 프로세스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 약효 평가를 위해 하나 이상의 측정을 할 때 분석적 문제가 존재하는 가운데, 여러 가지 1차 종결점(primary endpoint)을 채택한 임상시험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새로운 프로세스를 다룬 내용이다.

 

예를 들면 일련의 독립적 효과 측정 중 단 하나만 충족시킨 분자가 효과적인 것으로 잘못 평가될 수 있는 한편, 여러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해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예단될 수도 있는 만큼 임상시험에서 다중성(Multiplicity)에 대한 적절한 조정 및 관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종결점이나 분석의 수가 늘어날수록 평가에 실수도 늘 수 있어, 이번 가이드라인에 나온 다중성 조정을 통해 여러 종결점의 약효를 평가하는데 실수율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FDA는 밝혔다.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이를 위한 많은 전략 및 방식이 기술된 가운데 연구 계획 단계에서부터 통계 전문가를 통해 적합한 전략을 선택해야 된다고 FDA는 조언했다.

 

특히 어떤 질환은 병리에 중요한 하나 이상의 증상 및 발현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단일 효과 종결점만으로는 약이 효과적인지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이 경우 FDA는 둘 이상의 독립적 측정을 이용한 공동 1차 종결점(co-primary endpoints)이 충족되는지 평가할 방침이다.

 

대표적인 예로 FDA는 편두통의 경우 통증이 증상 정의에 중요하지만 구역이나 빛 민감성 역시 임상적으로 중요한 가운데, 작년 말에 바이오해븐의 자베게판트(zavegepant) 3상 임상시험에서 진통과 함께 두 시간째 가장 심한 증상 완화라는 공동 1차 종결점을 만족시켜 승인된 바 있다.

 

반면 알츠하이머 치료제 애듀헴(Aduhelm, aducanumab)의 경우 단 하나의 효과 종결점을 바탕으로 논란 끝에 승인을 받았지만 이후 실질적으로는 별로 이용되지 못하고 시판 후 관찰 연구도 중단됐다.

 

의학신문 (bosa.co.kr) 김자연 기자 nature@bosa.co.kr 입력 2022.10.26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