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유림프절 방사선치료로 유방암 생존율 높인다
암이 유방 안쪽이나 중앙에 위치하는 유방암에서 림프절 전이가 발생하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게 된다. 이때, 흉골 안쪽의 내유림프절을 포함해 방사선치료하면, 7년 무병 생존율은 높이고, 7년 사망률은 유의미하게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과 국립암센터 기관고유연구사업이 지원하고, 대한방사선종양학임상연구회(Korean Radiation Oncology Group)가 주축이 되어 수행했다. 또한, 논문은 JAMA Oncology(영향력 지수 31.77)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내유림프절(Internal mammary nodes, 內乳)은 흉골 안쪽에 위치한다. 이곳에 유방암 전이가 발생해도 접근이 어려워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하고 방사선치료로 제어해왔다. 그런데,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서 이 영역에 대한 치료 포함 여부가 논란이 되어왔다.
연구팀은 림프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에서 내유림프절 방사선조사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 13개 병원의 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유방암 환자 747명을 등록해 7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중 735명(내유림프절 치료군 362명 및 비치료군 373명)의 무병생존율, 생존율, 유방암 무병생존율, 독성 등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유방 안쪽이나 중앙에 있는 유방암의 경우 내유림프절 방사선치료가 생존율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됐다. 치료군이 비치료군에 비해 7년 무병생존율이 10% 이상 개선되고, 7년 사망률은 5% 이상 감소했다.
이 연구의 총괄책임자인 서창옥 차의과대학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확실한 임상적 근거가 없는 유방암의 방사선치료법에 대해 전향적 무작위 배정 후 10년 이상 장기추적하여 임상에 바로 적용 가능한 근거를 창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용 암정복추진기획단장(공저자,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전문의)은 “향후 유방암 환자의 국제 진료 가이드라인에 반영될 중요한 임상연구 성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며 “암정복사업을 통해 세계 최고의 국가 암관리 및 진료역량을 확보하는 데 지속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최근 개최한 미국방사선종양학회(ASRO)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된 2천여 편의 논문 중 가장 중요한 본회의 구연발표 네 편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은 암정복추진기획단이 추진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이다. 국내 사망원인 1위인 암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으로 암 분야 공중보건 및 다기관 임상연구 등 다양한 연구과제를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우리나라 암예방·진단·치료기술 향상 및 국가암관리사업 개선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2천 개가 넘는 과제를 지원해왔다.
연 구 결 과 개 요
○ 논문명 : Effect of Elective Internal Mammary Node Irradiation on Disease-Free Survival in Women With Node-Positive Breast Cancer(림프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내유림프절 조사 효과)
○ 저자 정보 : 김용배(제1저자, 연세의대 교수), 변화경(공저자, 연세의대 교수), 김대용(공저자, 국립암센터 양성자센터), 안성자(공저자, 전남의대 교수). 이형식(공저자, 동아의대 교수), 박원(공저자, 성균관의대 교수), 김수산(공저자, 울산의대 교수), 김진희(공저자, 계명의대 교수), 이규찬(공저자, 가천의대 교수), 이익재(공저자, 연세의대 교수), 김원택(공저자, 부산의대 교수), 신현수(공저자, 차의과학대학교 교수), 김규보(공저자, 이화의대 교수), 신경환(공저자, 서울의대 교수), 남정모(공저자, 연세의대 교수), 서창옥(교신저자, 차의과학대학교 교수)
1. 논문 개요 (초록 번역)
○중요성(Importance) : 림프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에서 내유림프절 방사선조사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알려지지 않음
○연구목적(Objective) : 림프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에서 영역림프절 방사선조사 시 내유림프절을 포함하는 것이 무병생존율(disease-free survival, DFS)을 향상하는지 알아보기 위함
○연구 설계 및 환자등록(Design, Setting, and Participants) : 다기관 3상 무작위대조연구로서 2008년 6월 1일부터 2020년 2월 29일까지 대한민국 13개 병원이 참여하여 수행되었음. 유방암으로 유방보존술(breast-conserving surgery)이나 유방전절제술(total mastectomy)과 함께 액와림프절곽청술(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을 받고 액와 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함. 원격 전이가 있거나 선행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제외함. 환자등록은 2008년 11월 19일부터 2013년 1월 14일 사이에 이루어짐
○연구방법(Interventions) : 모든 환자들은 유방 또는 흉벽 방사선치료와 함께 영역림프절 방사선조사를 받았는데 내유림프절 치료 여부는 1:1 무작위 배정함
○주 결과 지표(Main Outcomes and Measures) : 일차 분석지표(primary end point)는 7년 무병생존율이고 이차 분석지표는 생존율(overall survival), 유방암특이생존율(breast cancer-specific survival), 독성임
○결과(Results) : 총 735명 (평균 연령 49세)의 분석 대상중 내유림프절 비치료군이 373명이고 내유림프절치료군이 362명이었음. 거의 모든 환자가 Taxane 기반의 항암화학요법을 받음. 중앙추적관찰기간은 100.4개월이었음. 7년 무병생존율은 양군 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음(81.9% vs 85.3%). 하지만 유방암이 내측이나 중앙에 위치한 환자(총 306명)에서는 내유림프절 치료군(153명)에서 7년 무병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함(81.6% vs 91.8%). 또한 7년 유방암사망율도 내유림프절치료군이 의미있게 낮았음(10.2% vs 4.9%). 반면, 심장 독성이나 방사선폐렴 등 부작용 발생은 양 치료군에서 차이가 없었음
○결론(Conclusions and Relevance) : 림프절 전이가 유방암에서 영역 림프절 방사선치료 시 내유림프절을 포함하는 것이 무병생존율을 의미있게 향상시키지 못하였음. 하지만 안쪽이나 중앙에 위치한 유방암에서 내유림프절 방사선조사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될 것임
의학약학 국립암센터 (202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