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길병원 연구진 "의료용 AI 왓슨 포 온콜로지, 다학제팀과 일치율 93%"

산포로 2021. 1. 8. 09:15

길병원 연구진 "의료용 AI 왓슨 포 온콜로지, 다학제팀과 일치율 93%"

 

가천대 길병원이 국내 최초로 도입한 인공지능(AI) 의료 시스템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와 암다학제팀의 항암화학요법 일치율이 9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용순 가천대 길병원 외과 교수(사진)는 2016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길병원 유방암센터에서 치료받은 유방암 환자 147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더니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7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가천대 길병원 암 다학제팀이 선택한 치료와 왓슨 포 온콜로지가 ‘추천’하거나 ‘고려’하라고 제시한 치료가 같으면 ‘일치(Concordance)’로 정의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147명 중 136명의 치료법이 일치했다. 불일치에 포함된 11명은 국내 건강보험 체계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항암제거나, 고령이나 임신 등으로 항암화학요법을 포기한 환자였다.

전 교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유방암 치료제는 69종에 이를 정도로 많다"며 "항암화학요법의 중요한 요소인 개인 맞춤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약제 선택부터 복용 방법, 시기, 용량 등 의료진이 고려해야할 사항이 매우 방대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의료진이 환자에게 정밀의료를 제공하는데 인공지능 의료서비스 같은 보조수단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유방암 환자 방사선 치료법에서는 다학제팀과 왓슨의 일치율이 더 높았다.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144명이었는데, 이 중 임신으로 방사선 치료를 못하는 한 명을 제외한 99%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교수는 "인공지능 의료시스템이 비교적 높은 일치율로 의료진의 치료 결정을 돕는 보조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이번 연구로 확인했다"며 "다만 전체 환자수가 적고, 짧은 연구 기간은 단점으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종양학회지에 실렸다. 전 교수는 이 논문으로 학회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Chosunbiz  장윤서 기자 입력 2021.01.07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