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손실 줄이면서 살 빼는 비만치료제 등장할까
[ADA 2024] MASH 치료 후보물질 '펨비두타이드' MOMENTUM 임상2상 결과 발표
고용량 투약 시 체중 15.6% 줄어…제지방량 감소는 다른 인크레틴 기반 치료제보다 적어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근육 손실을 줄이면서 체중을 조절하는 비만치료제가 등장할지 관심이 모인다.
21~24일 미국 올란도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 연례학술대회(ADA 2024)에서는 알트임뮨이 비만 및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개발 중인 GLP-1/글루카곤 이중 수용체 작용제 펨비두타이드의 MOMENTUM 임상2상 결과가 발표됐다.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비만하거나 과체중인 환자에게 펨비두타이드 고용량 투약 시 체중이 15.6% 감소했다. 또 체중에서 지방을 제외한 무게인 제지방량은 비만치료제로 활용되는 인크레틴 기반 치료제에서 관찰된 것보다 적게 줄었다.
특히 연구 종료 시점인 48주에도 펨비두타이드를 투약한 환자군에서 지속적인 체중 감소 궤적이 나타나, 치료를 장기간 지속하면 근육 손실을 줄이면서 더 크게 체중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펨비두타이드군, 감량 체중 21.9%는 제지방량 차지
지질 수치 개선…공복혈당·당화혈색소 증가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

MOMENTUM 임상2상에는 체질량지수(BMI)가 30kg/㎡ 이상으로 비만하거나 BMI가 최소 27kg/㎡면서 심혈관질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전단계 또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등 최소 한 가지 이상 동반질환이 있는 성인 391명이 모집됐다.
전체 환자군은 당화혈색소 6.5% 미만, 공복혈당 125mg/dL 이하로 당뇨병이 없었다. 또 과거 체중 감량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경험이 있었다.
전체 환자군은 주 1회 펨비두타이드 1.2mg 투약군(98명), 1.8mg 투약군(99명), 4주 동안 주 1회 0.6mg부터 2.4mg까지 빠르게 용량 적정한 군(2.4mg군, 97명)과 위약군(97명)에 무작위 배정돼 48주 동안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며 치료받았다.
환자가 약물을 견딜 수 없다면 용량 적정을 하지 않고 치료를 중단했다. 펨비두타이드군 중 74%가 48주 치료를 완료했고, 이는 다른 비만치료제의 임상2상에서 보고된 결과와 유사했다.
48주 치료 결과, 체중은 펨비두타이드 1.2mg군 10.3%, 1.8mg군 11.2%, 2.4mg군 15.6% 감소했고 위약군은 2.2% 감소에 그쳤다(위약군과 차이 모두 P<0.001). 특히 펨비두타이드군의 체중 감소 궤적은 48주 시점에도 계속 하향 추세를 보였다.

이어 체중을 줄인 요인을 조사하고자 MRI를 촬영한 환자군 50명을 하위분석한 결과, 감량된 체중의 21.9%는 제지방량에 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즉, 체중 감소 78.1%가 지방이 줄어 나타났다.
연구를 진행한 미국 웨일 코넬의대 Louis Aronne 교수는 "체중이 줄면 제지방량이 최대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주요 근육을 포함하는 제지방량을 보존하는 것이 신체 기능을 유지하고 골절 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며 "인크레틴 기반 치료제는 최대 40%의 제지방량 감소와 연관돼, 제지방량 손실을 최소화하는 체중 감량요법이 필요했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 결과는 긍정적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펨비두타이드군은 48주째 혈청 지질이 유의하게 조절되는 결과를 얻었다. 등록 당시와 비교해 48주째 지질 수치는 중성지방 21.7~34.9%, 총 콜레스테롤 11.6~15.1%, LDL-콜레스테롤 6.2~11.2%, VLDL 콜레스테롤 12.2~31.4% 등 의미 있게 감소했고 위약군과 차이는 유의미했다. 이는 펨비두타이드가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는 안정적으로 유지됐고 약제가 심박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혈압이 소폭 감소하는 등 내약성이 우수하다고 평가됐다.
안전성 평가에서 펨비두타이드 1.2mg군 4.1%, 1.8mg군 16.2%, 2.4mg군 15.5%가 위장관계 이상반응 등 약물 관련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했다. 약물 관련 중증 이상반응은 구토 단 1건이 보고됐다. 주요 심혈관계 이상반응은 펨비두타이드군과 위약군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Aronne 교수는 "체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비만 관련 질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자별 요구를 충족하는 다양한 치료 접근법이 필요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펨비두타이드가 체중 감량 질과 심장대사 관련 비만 합병증에 중요한 역할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장기간 체중 관리에 중점을 둔다면 제지방량을 보존하는 것이 환자 관리에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비만치료제로서 펨비두타이드의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3상 등록이 진행될 예정이다.
메디칼업저버(monews.co.kr) 박선혜 기자 입력 2024.06.26 0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