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근시 진행 메커니즘 밝혀졌다'

산포로 2022. 10. 21. 09:06

'근시 진행 메커니즘 밝혀졌다'

공막 소포체스트레스가 중심적 역할…'4-PBA' 투여로 근시 억제

日 연구팀, 근시 치료제 개발 기대

 

 

[의학신문·일간보사=정우용 기자] 근시가 진행되는 메커니즘이 밝혀져, 치료제 개발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일본 게이오기주쿠대 연구팀은 안구의 대부분을 싸고 있는 흰색 막인 공막에 생기는 소포체스트레스가 근시가 진행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조절하면 근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근시 모델 쥐의 공막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공막의 섬유아세포에 미접힘 단백질(unfolded protein)이 축적됐을 때 나타나는 조면소포체 팽창이 관찰됐다. 이 상태를 소포체스트레스라 한다.

 

따라서 소포체스트레스를 줄이는 저분자화합물 '4-PBA'를 점안투여하자, 안축장(안구길이) 증가와 굴절도수 저하가 억제돼, 근시가 억제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약물로 공막 소포체스트레스를 유도한 결과, 안축장 증가와 굴적도수 저하가 나타나 공막 소포체스트레스가 유도되고 결과적으로 근시가 초래됐다. 따라서 공막 소포체스트레스가 근시의 발병과 진행을 초래하고, 소포체스트레스의 조절에 따라 효과적으로 근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이 시사됐다.

 

근시는 환자 수가 많고 시각장애 위험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효과적이면서 안전하게 안축장 증가를 억제하는 약물은 없다. 이번 연구에서 발견한 4-PBA는 근시 치료를 가능케 하는 약물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