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안산 다학제연구팀, 코호트 연구 진행
HDL 변동폭 클수록 파킨슨 위험 60% 증가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이 낮고 변동폭이 클수록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위험이 최대 60%까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다학제 연구팀(가정의학과 박주현, 김도훈 교수,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은 18일 국민건강보험 전 국민 건강정보를 활용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국내 파킨슨병 유병률은 2010년 10만 명당 115.9 건에서 2015년 10만 명당 139.8 건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이번 코호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을 통해 3번 이상의 건강 검진을 받은 파킨슨병이 없는 65세 이상 380,404 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2017년 말까지 추적관찰 기간 동안 새롭게 발생한 파킨슨병을 조사한 결과 코호트 등록 초기 HDL 콜레스테롤이 가장 낮은 사분위 그룹은 파킨슨병 위험이 21% 증가하였고, 이 중에서 검진 간 HDL 콜레스테롤 변동성이 큰 경우에는 파킨슨병 위험이 60%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저질환으로 비만이나 만성콩팥병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위험도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높은 혈장 HDL 콜레스테롤 수치 유지가 신경학 분야에서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는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의 발병 위험 감소와 관련될 가능성을 대규모 인구집단연구를 통해 밝혔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과학회에서 발간하는 신경학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인 ‘Neurology’ 2021년 3월 호의 대표 논문으로 선정되었으며, 편집인들의 주목을 받으며 우수성을 입증받았다.
메디팜스투데이 (pharmstoday.com) 문윤희 기자 news@pharmstoday.com 입력 2021.03.18 09:54